이왕 개발 공부하려면 웹을 하던 앱을 하던 뭘 하던 깃을 좀 익혀놔야할 것 같아서 생활코딩을 보면서 깃에 익숙해지려고 한다.
거의 7,8년 전부터 꾸준히 강의를 올리는 이고잉님 대단하다.
이 깃 활용법은 커맨드 라인으로 (까만 창에 명령어 치는거) 사용하는 방법이다.
1. 아래의 git 사이트에서 git을 자기 컴퓨터에 설치한다.
Git
git-scm.com
2. 명령어 창을 열어서 git을 통해서 관리하고 싶은 폴더로 이동한다.
여기서 간단한 명령어는 무엇이 있냐하면..
pwd: 지금 내가 있는 위치 확인하기
cd: 디렉토리(폴더)로 이동하기 (change directory의 줄임말이다.)
3. git으로 관리하고 싶은 폴더로 이동했으면 (pwd를 찍으면 해당 폴더 이름이 나와야 한다.)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한다
git init .
깃아! 이제부터 관리해라 이 폴더를
저 명령어는 대략 저런 뜻이다. 의역한 것이다..(?)
4. 저 명령어를 입력하여 엔터를 눌러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... 이런 문장이 나왔다면 잘 된 것이다.
그리고 그 폴더에는 .git 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폴더가 하나 생기게 된다.
끗
반응형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오마이깃] 3. 깃 저장소에 여러 개의 파일을 한꺼번에 기록하기 (0) | 2020.06.10 |
---|---|
[오마이깃] 2. 깃에다가 변경사항 추가해보기 (..짧음) (0) | 2020.06.09 |